재테크정보/부동산

부가세 신고기간, 부가세 신고방법

박삐용 2023. 1. 8. 12:57
반응형

30대 직장인으로서 임대사업자 병행하고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이라 정리해보았습니다.

 

 

부가가치세란

 

부가가치세 (부가세) 란?

판매가(임대사업자의 경우 월세)의 10%에 대한 세금이며, 판매가 되면서 이뤄지는 일부 마진에 대한 세금입니다.

서비스나 어떤 상품 거래에 대해서 판매자는 제공과정에서 이윤을 당연히 얻게되는데요.

이때 과세되는 세금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사업자가 납부하는 부가세는 크게 매출세액 (판매액)에서 매입세액(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한 매입비용) 을 차감하여 계산됩니다. 부가세는 물건값에 포함되어있어 최종소비자가 부담하게 됩니다.

영수중에 보면 VAT라고 찍히는 부분입니다.

 

 

저의 경우는 임대사업자인데 월세의 10%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월세를 100만원 받는다면 부가세는 10%에 해당하는 10만원입니다.

연간 총 매출세액은 120만원이 되겠고 이를 연 2회 납부하는 방식이니 60만원이 책정될 것입니다.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부가세 납부기간

부가가치세는 일반적인 개인의 경우 일년에 2회 납부합니다.

 

사업자 과세기간 신고대상금액 신고/납부일정 비고
일반 사업자 1회차 1.1~6.30일 1.1~6.30의 부가세 7.1~7.25일 13일 이후 전자세금계산서 데이터 확인가능
일반 사업자 2회차 7.1~12.31일 7.1~12.31의 부가세 1.1~1.25일
간이 사업자 1.1~12.31 1.1~12.31의 부가세 1.1~1.25일  

 

신고대상금액은 위에 표에 보시다 싶이 6개월 동안의 금액으로  저의 경우 월세 190에 해당하는 부가세를 10% , 19만원 X6개월 114만원이 신고대상금액 , 즉 매출세액이 되겠네요. 매입세액은 임대사업자인 저인 경우에는 임대인의 요구로 인한 수리나 또는 거래 발생시 내는 수수료 등에 해당하는데 보통 매입세액은 없습니다.

 

 

 

 

 

부가가치세 납부방법 

 

부가세 납부 방법은 홈택스를 이용하면 되는데요.

보통의 일반사업자들은 세무사에서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저처럼 임대사업의 경우

신고하는 부분이 간단하기 때문에 셀프 신고방법으로 아주 적은시간만 내어서 신고대행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방법은 올 1월 15일에 부가세 신고시 이후 업로드 하도록하겠습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핸드폰으로 충분히 가능해서 스마트폰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임대사업자편의 부가가치세 신고방법을 다룰텐데요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 않으니 참고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홈택스 부가세 신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