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적인 연봉별 자동차 LIST 총 정리
내 연봉에 적절한 차량은 어떻게 될까요?
현실적인 부분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겠죠?
우리나라는 참 신기한게 아직도 차로 사람의 능력이나 사람을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알뜰한 부자들은 그런것은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데도 말이죠.
자 그럼 현실적인 연봉별 차량 총 리스트업 시작합니다.
구매 전 현실적인 지출비용 고려 필요
1. 저축액은 실수령액의 50%로 산정
2. 자취의 경우 생활비를 제외한 고정비용 100만원 산정
또한 차량구매는 할부를 제외하고도
보험비, 유지비 (부품 및 소모품 교체, 주유비) 등이 매월 발생함으로
구매 전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1,2번을 제하고 남는 비용 측면에서 월할부 및 리스 구매 검토 必
현실적인 측면에서 차량구입을 검토해야하기 때문에 위 사항을 반영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어째뜬 본격적으로 2023년 연봉별 현실적인 자동차 구매 리스트업합니다.
차량 가격은 신차 기준이지만 저는 일단 첫차는 중고를 추천합니다.
차량을 취득한 후에 처음하는 미숙한 운전 때문에 접촉사고가 잦기 때문이죠.
연봉별 차량 추천
1. 연봉 2,500 ~3,000만원
구분 | 연봉 | 실수령액 | 저축/고정비 | 남는비용 |
임금 | 2,500만원 ~ 3,000만원 | 186만 ~ 222만원 | 200만원 | 0만원~20만원 |
내용 | 사회에 처음 진입한 상태로 회사가 근거리거나 통근버스를 운영한다면 차량 구입보다는 목돈 마련에 힘을 써서 차라리 경차보다 준중형차를 도모하시는게 좋다고 판단됩니다. 사회 초년의 경우 연봉인상이나 향후 인상폭이 높은 만큼 처음에는 저축에 힘쓰시고 진급/연봉 인상 후에 정말 가성비 좋은차가 많으니 참는 시기가 될 것 같습니다. 검토할 수 있는 차는 경차종류로 대표적으로 쉐보레 스파크나, 기아 모닝, 현대 캐스퍼 등이 있습니다. |
|||
추천 차량 | 추천 : 버스, 지하철, 대중교통 추천 검토 : 기아모닝, 기아레이, 쉐보레 스파크, 현대 캐스퍼 등 |
2. 연봉 3,000 ~4,000만원
사회 초년생에서 비교적 높은 연봉을 회사에 취직하거나 보통의 중견기업 수준의 초임입니다.
이 경우에 실수령액은 222만원에서 288만원으로 자취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생활비를 제외하고 저축포함하여 200만원을 월 고정비로 산출하여도 20~80만원 수준이 남게 됩니다.
이제 가성비가 좋은 중고 차들을 한번 검토해볼 시기입니다.
제가 실제 사회초년생일 때 여러가지 차를 렌트/리스/구매하여 경험해봤지만 가장 추천하는 차는 현대의 투싼이라고 자부합니다. 가성비 측면에서 어느부분도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죠. 나중에 따로 리뷰하는 부분을 만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구분 | 연봉 | 실수령액 | 저축/고정비 | 남는비용 |
임금 | 3,000만원 ~ 4,000만원 | 222만 ~ 288만원 | 200만원~ 250만원 (저축 150만) |
20만원~80만원 |
내용 | 저축을 포함한 고정비를 지출해도 조금의 여유가 남는 연봉 좋은 일자리의 기업들의 초임 수준, 중견기업의 초임 수준으로 보통 20대후반에서 30대초반까지에 해당하는 연봉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가성비의 차량을 눈여겨 볼 수 있고 구매도 가능합니다. |
|||
추천 차량 | 추천 : 중고 투싼, 현대 베뉴, 기아 K3, 중고 K5 등 검토 : 신형 투싼, K5, 소나타, 쉐보레 트레일 블레이져 등 |
외관이라던지 차박/캠핑 등의 실용성 그리고 내부크기는 모두 현대 투싼 2016년식 중고를 추천합니다. 베뉴도 물론 좋습니다만 전체적으로 차량을 탑승했을 때 크기가 경차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조금 더 무리한다면 신형 투싼이나 K5 정도를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나 개인적으로는 중고차를 먼저 구매 하시는게 경제적으로도 미숙한 운전실력 보완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생각됩니다.
무리한다면 위 차량들도 검토해볼수 있겠는데요. 승용차로는 K5 정도가 무리하는 수준에서 검토해볼만 할 것 같습니다.
저는 참고로 취업하고 3년 정도는 차를 구매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3. 연봉 4,000 ~5,000만원
대기업 수준의 초임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사회적으로도 꽤 높은 연봉에 속하는 구간으로 일반적으로 취업한 경우에는 보통 대리~과장급에 진급해야 받을 수 있는 수준의 급여에 해당합니다. 이제는 연봉이 꽤 안정적인 구간에 들어왔습니다.
구분 | 연봉 | 실수령액 | 저축/고정비 | 남는비용 |
임금 | 4,000만원 ~ 5,000만원 | 288만 ~ 352만원 | 250만원~300만원 | 30만원~80만원 |
내용 | 꽤 높은 직급일 수도 있고 그동안 고생을 열심히 한 대기업 사원들의 연봉이 되는 부분입니다. 이 때부터는 무난한 신차를 생각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실수령액이 300만원이 넘어서는 시기도 하지요. 하지만 너무 무리해서 구매하는 것보다 (외제차, 프리미엄 차량 X) 아직은 역시 가성비의 신차를 추천드립니다. |
|||
추천 차량 | 기아 K5 , 현대 투싼, 쉐보레트레일블레이저, 쌍용 토레스 , 기아 셀토스 등 |
위에서 현대 투싼과 쉐보레트레일블레이저는 사진과 금액을 확인하였으니 나머지를 봅시다.
개인적으로 모두 멋지고 어디서도 빠지지 않는 차인것 같습니다.
그 중에서도 저는 SUV가 활용성도 많고 실용성 있다고 생각되어서 쌍용토레스가 가장 가성비가 좋은 것 같습니다.
3. 연봉 5,000 ~7,000만원
이제 본격적으로 고액연봉을 받는 시기입니다.
대한민국 10대 대기업 초임수준 또는 직장에서 오래일한 차장~부장급의 연봉입니다.
구분 | 연봉 | 실수령액 | 저축/고정비 | 남는비용 |
임금 | 5,000만원 ~ 7,000만원 | 352만 ~ 476만원 | 300만원 | 50만원~176만원 |
내용 | 현실적으로 높은 연봉에 속하는 구간입니다. 대한민국 10대 기업의 초임수준 (성과포함) / 중소중견 기업의 차장~부장급 연봉이 되겠네요. 하지만 이 기간에는 사실 가족을 이루고 있거나 또는 자녀가 있을 수 있음으로 케이스 별로 차량에 쓸 수 있는 비용도 확연히 차이가 크게 나타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참고하시어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
추천 차량 | 제네시스 G70, 기아 스팅어, K7, 기아 카니발 등 |
개인적으로 위 정도 차만 타고 다녀도 정말 괜찮습니다.
성공한 이미지가 들정도로 세련된 외관하며 내부 기능들도 고급화되게 구현되어 오래타기도 괜찮고 외관적으로도 멋드러집니다.
사실 저런 연봉받기가 쉽지 않은데 상당히 노력을 한 분들이고 그 노력의 대가로 원하시는 차를 구매하기도 합니다.
3. 연봉 7,000 ~9,000만원
사실 이때부터는 프리미엄급 브랜드나 외제차를 생각해봐도됩니다.
보통 대기업의 대리~과장 / 중소중견기업의 임원 수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회적으로 상당히 인정받는 위치에 있고 소비지출도 그만큼 늘게 되는 시기입니다.
구분 | 연봉 | 실수령액 | 저축/고정비 | 남는비용 |
임금 | 7,000만원 ~ 9,000만원 | 476만 ~ 590만원 | 300만원 | 176만원 ~290만원 |
내용 | 직장인으로서 현실적으로 받게되는 높은 수준의 연봉입니다. 이제 정말 프리미엄 급의 차량들, 또는 외제차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부터는 기호에 따라 외제차나 또는 프리미업금 국내 브랜드들을 구매하게 됩니다. |
|||
추천 차량 | 제네시스 G80, GV80 , BMW 5시리즈, 아우디 A6 등 |
그 외는 따로 다루진 않겠습니다.
그보다 높은 연봉은 폭이 크게 차이 나지 않거나 직장인으로서는 벌기 어려운 연봉이니
사실 사업을 하시는 분들이 구매를 많이하는 슈퍼카에 해당합니다.